UX의 세계

UX 리서치: 정성조사와 정량조사의 차이 쉽게 이해하기

PlaneJ 2025. 4. 26. 23:26

UX 리서치를 처음 접하면, "정성조사"와 "정량조사"라는 개념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사용자 경험(UX)을 제대로 이해하려면,
두 가지 조사 방법 모두를 목적에 맞게 활용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이번 글에서는 닐슨 노먼 그룹(Nielsen Norman Group)의 세미나 내용을 바탕으로
UX 리서치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
정성조사(qualitative research)와 정량조사(quantitative research)의 차이를 정리해보았습니다.


✅ 정성조사란 무엇인가요?

정성조사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방법입니다.
수치나 통계보다는, 사용자의 행동, 감정, 생각의 흐름을 관찰하고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.

 

🔹 정성조사에서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

  • 사용자가 그렇게 행동했는지 이해하기
  • 문제나 기회를 발견하고, 개선 방법을 찾기
  • 제품/서비스가 기대와 다르게 작동하는 이유를 찾아내기

🔹 대표적인 정성조사 방법

  • 심층 인터뷰 (In-depth Interviews)
  • 정성적 사용성 테스트 (Qualitative Usability Testing)
  • 현장 관찰 조사 (Field Studies)

🔹 예시 상황

어떤 기능이 기대만큼 인기가 없을 때,
→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"이 기능이 왜 어려웠는지",
**"무엇을 오해했는지"**를 직접 들어볼 수 있습니다.
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을 개선하거나, 경우에 따라 삭제를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.


✅ 정성조사는 왜 소수 인원만 조사해도 될까요?

정성조사는 5~8명의 사용자만 조사해도 충분히 유의미한 문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.

이를 이해하려면 '도로의 싱크홀' 비유를 떠올리면 쉽습니다.
5대의 차가 지나가는데 모두 같은 싱크홀에 빠진다면,
이미 문제는 명확합니다.
굳이 50대 더 지나가야만 문제를 확신할 필요는 없죠.

👉 즉, 패턴과 문제점을 찾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
대규모 인원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.


✅ 반면, 정량조사는 무엇이 다를까요?

정량조사는 사용자 행동을 숫자로 측정하고 비교하는 방법입니다.
우리가 흔히 말하는 'UX 메트릭스'를 수집하는 과정입니다.

🔹 정량조사에서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

  • 문제의 심각성이나 규모를 수치로 파악하기
  • 두 가지 디자인 안을 비교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입증하기
  • 서비스 품질이나 사용자 경험을 시간 흐름에 따라 추적(벤치마킹)하기

🔹 대표적인 정량조사 방법

  • 웹/앱 분석(Analytics)
  • AB 테스트 (A/B Testing)
  • 설문조사 (Surveys)
  • 정량적 사용성 테스트 (Quantitative Usability Testing)

🔹 예시 상황

두 개의 버튼 디자인 중 어떤 것이 더 클릭률이 높은지 알고 싶을 때,
→ A/B 테스트로 클릭 수, 전환율 같은 수치를 비교해 객관적으로 판단합니다.


✅ 정량조사는 왜 대규모 샘플이 필요할까요?

정량조사의 핵심은
"우리가 발견한 차이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실제로 의미가 있는 차이인가?"를 입증하는 것입니다.

이를 위해선

  • 충분한 표본 수집
  • 통계적 유의성(statistical significance) 검증
    이 필요합니다.

샘플 수가 부족하면, 수치 차이가 보여도
"이게 진짜 차이인지, 그냥 운이 좋아서 나온 건지" 알 수 없습니다.

👉 그래서 정량조사는 정해진 최소 샘플 수를 반드시 확보해야 신뢰할 수 있습니다.


✅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는 서로 보완하는 관계입니다

구분 정성조사 (Qualitative) 정량조사 (Quantitative)
얻는 것 인사이트, 문제의 원인 파악 문제의 규모, 우선순위 설정
방법 인터뷰, 관찰, 현장 연구 설문, A/B 테스트, 분석 데이터
특징 소수 사용자, 깊이 있는 이해 대규모 사용자, 수치적 비교

👉 최고의 UX 리서치는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조합해서
문제를 발견하고, 그 심각성을 수치로 입증하는 것입니다.


✨ 마무리

UX 리서치는 단순히 "많은 수치"를 보는 것이 아니라,
사용자가 왜 그렇게 느끼고 행동하는지를 이해하는 과정입니다.

정성조사로 인사이트를 찾고, 정량조사로 근거를 세우는 것.
이 두 가지를 균형 있게 활용하는 것이
진짜 좋은 사용자 경험(UX)을 만드는 지름길입니다.